본문 바로가기
유치원,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 유아 교직 윤리

by 기록가 반지 2023. 1. 30.
반응형

보육교사의 인성적 자질

 

1. 인간에 대한 애정
-  보육교사가 가져야 하는 인성적 자질 중 가장 중요하고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개별성에 대한 존중이다. 
보육교사는 어떤 개별성을 가진 영유아라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영유아의 서로 다른 모습을 모두 소중히 여기며, 그것을 단일화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보육교사의 선호와 감정과 무관하게 모든 영유아에게 공평하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보육교사는 영유아를 사랑하는 따듯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모든 상황에서 아이들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온화하고 따듯한 태도를 몸에 배어 있도록 해야 한다.

2. 신체적 정신적 건강
- 보육교사는 활동량이 풍부한 영유아들을 보육하고 적절한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상황에 따라서 안아 주고 씻기는 등 몸을 움직이는 상호작용을 해야 하므로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 또한 기복이 심하거나 우울한 기분은 영유아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교사 스스로 이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

 

3. 긍정적인 사고와 원만한 대인관계

동료교사와 상호작용이 원만해야 하며, 학부모와도 서로 신뢰하며 존중하는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영유아에 대한 역할

1. 영유아 양육자로서 해야 할 역할
부모를 대신할 만큼 헌신적인 자세로 영유아를 지도하여 친밀한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2. 교수로서의 역할
보육교사는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교수활동뿐만 아니라 학습의 촉진자로서 해야 할 역할을 해야 한다.

3. 학급운영자로서 해야 할 역할
안전한 놀이방을 제공, 학습 계획자 및 연구자, 관찰자의 역할

4. 지역사회와의 교유자로서의 역할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매고 협력하는 역할을 한다. 보육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기관에 방문하거나 전문가를 초청할 수 있다. 지역주민에게 어린이집을 개방하거나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한다.

 

부모에 대한 역할

1. 공식적인 부모참여 활동

상담, 어린이집 참관, 운영위원회, 부모교육, 부모참여 프로그램 등이 있다.

2. 비공식적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공식적인 부모참여 활동 외에 보욕교사는 등하원 시간이나 전화 등을 이요하여 부모와 의사소통을 한다. 짧은 의사소통 시간이지만 보육교사로서 이 전문성을 가지고 응대함으로써 학부모가 신뢰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유아 교직 윤리

교직 윤리란 교사가 교직 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실천의 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보육교사 교직윤리는 보육교사들이 교직을 수행하면서 스스로 실천하기를 기대하는 규범을 의미하는 것이다.

 

유아 교직 윤리의 중요성

유아 교사들은 대개 유아들의 인격을 존중하고,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기 위해 노력하며, 모든 영유아를 공평하게 대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영유아의 의사를 무시하기도 하고, 영유아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도 한다. 물론 영유아들이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거나 이를 적절하게 수정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아이들은 스스로 자신을 방어할 능력이 아직 부족하다. 만약 부모의 요구와 영유아의 요구가 충돌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윤리강령은 이런 상황에서 아이들의 안녕을 위해 바른 판단을 내리도록 도와준다.

 

 

반응형

댓글